수험기간: 약 1년 6개월
안녕하세요 ^^ 저는 16 년도 합격자입니다 . 늦은 후기지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. 1. 직렬 : 사서 2. 수험기간 : 약 1 년 6 개월 3. 수험생활 1) 졸업 전 공시준비를 고민하던 시기에 6 개월 동안 자격증 시험 치르듯 공부한 적이 있습니다 . 에듀피디 김형균 , 정원상 , 심태섭 교수님 강의를 들었습니다 . 15 년도 시험 치르고 졸업한 후 본격적으로 kg 패스원 김영국 , 이장우 , 라영환 , 신인수 교수님 강의를 들으며 16 년도 시험 준비했습니다 . 2) 기본 이론강의는 8 월부터 독서실에서 인강으로 들었습니다 . 저는 8 시 30 분쯤 독서실에 도착해서 9 시부터 공부 시작했습니다 . 끝나는 시간은 정하지 않고 하루에 정한 분량이 끝나면 집에 갔습니다 . 매일 아침 영단어 / 한자성어 외웠고 , 국영한 위주로 공부하고 , 전공과목은 진도만 뺐습니다 . 주중 5 일은 하루 3 과목 , 과목당 약 3~4 시간씩 인강 > 복습 > 회독했습니다 . 토요일은 전체복습 , 일요일 쉬었습니다 . 3) 문풀 강의는 11 월부터 학원가서 실강 들었습니다 . 이론서 회독을 많이 했다고 생각했는데 문제를 너무 많이 틀려서 막막하고 힘들었습니다 . 첨부터 다시 배운다고 생각하고 발등에 불 떨어진 것처럼 공부했습니다 . 매일 영단어 / 한자성어 외웠고 하루 2~3 과목씩 학원 수업에 맞춰 수업 > 복습 > 회독했습니다 . 여전히 국영한 중심이었고 전공과목은 회독하다가 1 월부터 문풀 시작했습니다 . 4) 국영한은 4 월 국가직 점수를 기준 삼아 부족한 부분을 매우고 문제 푸는 시간을 줄이려고 노력했습니다 . 그리고 전공은 막판 스퍼트를 올려 문풀을 많이 했고 이즈음 점수가 올랐습니다 . 4. 과목별 공부방법 국어 이장우 교수님 신인수 교수님의 현장강의를 듣고자 kg 패스원으로 갔는데 거기서 이장우 교수님 단과 수업을 들으며 스터디도 했습니다 . 개인적으로 달달 외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원칙을 제대로 외우면 뚫리는 부분 (?) 이 많은 것이 국어라고 생각하는데 그 점을 제대로 짚어주십니다 . 또 학생들과 대화도 많이 하시고 수업 분위기도 좋고 , 지루하지 않게 배려를 많이 해주십니다 . 그리고 스터디 강추합니다 . 저는 수업 듣는 건 할 수 있어도 복기하는 것은 쉽지 않았습니다 . 제대로 복기가 되고 있는지도 잘 모르겠고 , 질문하고 싶은 내용이 많은데 쉬는 시간은 짧아서 어려움을 겪다가 스터디에서 해결을 봤습니다 . 주시는 자료 풀고 조원들에게 설명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원리가 머리에 들어가는 느낌을 받았고 , 질문도 이해될 때까지 , 자유롭게 , 많이 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. 덕분에 시험 점수는 90 점대로 효자과목이 되어 주었습니다 . 영어 김영국 교수님 영어에 자신이 없어서 에듀피디 이형균 교수님의 기초 강좌를 들으며 워밍업을 했습니다 . 꼼꼼하게 , 자세하게 가르쳐주셔서 좋았습니다 . 반면 kg 패스원 김영국 교수님은 수험생 시점에서 시험장에서 문제를 마주쳤을 때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에 대해 집중해서 가르쳐 주십니다 . 제 입장에서는 이형균 교수님이 광범위하게 영어에 대한 기초를 가르쳐 주셨다면 김영국 교수님은 간추려서 시험에 나올만한 내용을 압축해주시고 문제 보는 요령을 알려준 느낌이었습니다 . 그리고 저는 영어감각이 떨어진다고 할까요 ... 매일 단어를 외워도 낯선 과목이라 김영국 교수님 아침 무료특강을 들었습니다 . 실전처럼 하프 모의고사 문제를 풀고 교수님이 직접 해설도 해주셔서 좋았습니다 . 시험 점수는 60~70 점대입니다 . 한국사 라영환 교수님 처음 이론서는 에듀피디 심태섭 교수님의 인강을 들었습니다 . 전체적인 흐름잡고 회독하기 좋았지만 , 시험장에 가서까지 전체내용을 머리에 넣어야하는데 두꺼운 이론서는 그러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. 결국은 압축된 노트를 통해 반복해서 머리에 넣는 과정이 필요했습니다 . 그래서 kg 패스원 라영환의 사다리라는 스터디 수업을 들었는데 , 저처럼 한국사 암기하는데 어려움을 겪은 분이 계시다면 강추합니다 ! 빈칸이 뚫린 프린트에 암기해온 내용을 적고 , 조교가 프린트를 바탕으로 질문합니다 . 이 과정을 계속 반복하다보니 암기는 물론 아는 것과 안다고 착각했던 것이 구분이 되어서 좋았습니다 . 방식은 간단한데 에너지가 엄청 소모됩니다 . 그래서 나중에는 오늘 사다리 타는 날이니까 밥도 든든히 먹고 졸리면 안 되니까 잠도 좀 자둬야지 , 생각했던 기억이 납니다 . 점수가 오르는 게 눈에 보이니까 그렇게 열중했던 것 같습니다 . 꼭 사다리 수업이 아니더라도 같이 수업 듣는 친구와 빈칸 채워 넣기나 암기해서 말하기를 시도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. 시험점수는 85~ 90 점대입니다 . 자료조직 & 정보봉사 신인수 교수님 패스원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교수님 커리큘럼 보고 그대로 쫒아갔습니다 . 다른 과목은 어떻게 공부할지에 대해서 고민 많이 했었는데 전공과목은 신인수님만 믿고 따랐습니다 . 하지만 아무리 이론서를 봐도 성적이 너무 안 나왔습니다 . 개인적으로 4 월 문풀 때부터 문제유형 자체를 외워버리니까 점수가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.( 시간이 별로 없다면 문제 많이 풀어보시길 추천합니다 !) 이론만 봤을 때 30~40 점대였는데 기출 외우니까 70 점대로 올랐습니다 . 꼭꼭 기출문제 많이 풀고 달달 암기하세요 ! 시험점수는 정보봉사 80 점대 / 자료조직 70 점대입니다 . 마지막으로 , 저는 유명강사 쫓아 떠돌이로 옮겨 다니며 체력 , 시간 , 비용 등을 소모하는 것에 스트레스를 받는 타입이기 때문에 kg 패스원 같은 공부환경이 좋은 곳을 선택했어요 . 수험생활하면서 꼭 자신만의 안정적인 공부 공간을 만드시고 교수님과도 친해지셨으면 좋겠습니다 . 담임 선생님 같은 든든한 교수님이 있다면 마음 한 구석에 의지할 데가 있는 느낌이랄까요 ? 불안하지 않게 차분히 공부할 수 있게 되는 것 같습니다 . 이만 후기를 마치겠습니다 ^^