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7년 지방직 기술직 합격수기입니다.
2017 년 지방직 기술직 합격수기입니다 . 식품위생직렬은 소수직렬이고 정보도 없고 채용인원도 많이 뽑을 때 5, 6 명 안뽑을 때도 있는 그런 직렬입니다 . 식품과를 나왔기 때문에 자격증으로 가산점이 있었습니다 . 정보가 없어 찾으려고 하지 않고 그냥 공부만 했습니다 . 어차피 찾아도 없는 정보 거기에 시간낭비안하고 바로 공부만 했습니다 . 국어 , 영어 , 한국사 , 식품위생 , 식품화학 5 과목으로 저는 공단기만 이용하였습니다 . 2016 년 1 월에 퇴사 후 한달 공부를 시작하다가 한명 뽑아서 그냥 포기하고 사촌오빠 일 도와주다가 2017 년 1 월 중순부터 다시 시작하였습니다 . 2016 년에 대방열림으로 식품위생이랑 식품화학을 기본서 한번 돌리고 , 정리노트 만들고 그 후 부터 놀다가 시험 어떻게 나오는지 유형알고 싶어 ( 처음에 공무원시험을 수능처럼 보는 줄알았습니다 ^^;) 16 년지방직 시험 시험삼아 보고 , 다른 일 하다가 2017 년 6 월 지방직 시험을 위해 1 월중순부터 짧지만 열심히 준비하였습니다 . 6 월지방직 시험 1 점차이로 떨어지고 난 후 정신 못차리고 2 달 놀다가 12 월 하반기 채용한다 그래서 다시 마음잡고 9 월달부터 12 월 시험 준비해서 합격했네요 .. 저는 생각보다 길지않은 공부였기에 심화학습보다는 기본이론에 더 집중해서 공부했습니다 . 국어 - 2017 선재국어 , 나침반 모의고사 , 2018 선재국어 , 매일국어 , 이윤주 실전동형모의고사 영어 - 보카바이블 3.0, 이동기하프 ( 매일 ), 500 제 , 손진숙 . 조태정 특강 , 한국사 - 설민석 개념완성 , 최태성별별한국사 , 전한길 기본개념 , 4.0 실전동형모의고사 , 필기노트강의 전공 - 대방열림 & 스터디채널 7 시반부터 11 시 길게는 12 시까지 공부했고 , 밤공부가 안되었던 저는 일찍자고 아침에 하는 습관으로 공부를 했습니다 .( 주위 얘기들어보면 이건 자기습관에 맞추면 될 것 같습니다 ) 서울 학원 다니면 놀 성격을 알기에 저는 집에서 인강만 ! 들으면서 공부했구요 , 놀때는 웬만하면 혼자서 티비보거나 쉬거나 했습니다 . 17 년 6 월 떨어진 가장 큰 이유는 과락같은 영어점수였습니다 .. 16 년 시험삼아 본 영어에 점수가 꽤 잘나와 영어를 만만히 봤던 저는 17 년 공부시작하면서 영어는 거의 안하고 2017 년 6 월 지방직 시험 = 첫 한 , 두달은 인강만 듣고 완전 기본 익혔습니다 . 국어는 2017 선재국어 3~4 개씩 들어 한달에 완강했고 책 혼자 계속 복습하고 그냥 계속 기본서만 복습하였습니다 . 국어가 생각보다 새로운 것도 많고 할 것이 많아 재밌게 공부했던 것 같습니다 . 독해는 내주는 프린트뽑아서 하고 2 권 독해문제 풀고 기출문제로 많이 익혔습니다 . 시험보기 한달전엔 나침반모의고사로 강의듣고 문제풀고 시간맞추고 모르면 다시 기본서보고 복습하고 했습니다 . 한자는 초등학생때부터 접해있던 상태라 어렵지않게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. 한국사는 정말 하나도 몰라서 설민석 , 최태성강의로 기본흐름을 잡고 전한길 필기노트 세세하게 공부하였습니다 . 계속반복 ! 공부하는 습관이 책을 펼쳤을때 머릿속에 그 책페이지 전체가 기억나게 공부하는 방법이라 거의 책을 외우다싶이 했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. 그래서 순서같은건 외웠다기보단 이미지 , 위치로 기억하기도 합니다 .. ㅎㅎ 4.0 실전동형모의고사로 6 월 시험 전 마무리 준비했는데 시험보는 데 도움이 됐다기보다 제가 공부하고 어디가 부족한지 알아가는데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. 이렇게 6 월시험이 떨어지고 .. 운 좋으면 붙겠다싶었는데 떨어진 후 다시 9 월부터 시험준비를 하였습니다 . 많은 것을 기억하고 있을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너무 많이 잊어버리고 자세하게 기억이 나지않아 다시 9 월부터 국어는 2018 선재국어 이번엔 문법파트만 들었습니다 . 강의들으면서 복습하는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. 따로 복습하기 싫거나 공부하기 싫을땐 기본이론입문 강의를 통해 문법파트 들으면서 공부했습니다 . 매일국어가 나와서 그걸로 매일 감 잃지않게 들었습니다 . 기본이론이 저번보단 잡혀있어서 이번엔 문법을 좀 자세하게 팔 수 있었고 , 고유어 , 한자어같은 부분도 더 준비할 수 있었습니다 . 시험 다가올땐 이윤주 실정동형모의고사풀면서 기출문제 풀면서 문제풀기 위주로 공부하면서 감을 익혔습니다 . 85 한국사는 소름돋게 기억이 나질않아 전한길 2.0 으로 다시 시작했습니다 . 2 주만에 기본강의 완강하고 , 강의들으면서 재밌고 어렴풋이 기억났던 것이 제대로 잡히면서 강의때 말했던 세세한 년도도 다 외웠던 것 같습니다 . 러닝타임은 길지만 강의와 상관없는 얘기는 좀 스킵해가며 빠르고 재밌게 들을 수 있었습니다 . 들으면서 필기노트 복습하고 필기노트 강의들으면서 복습했습니다 . 기본강의를 듣고나니 필기노트는 더 쉽게 외우고 익힐 수 있었습니다 . 하반기 시험때는 필기노트만 보면서 외우고 문제만 풀었습니다 . 85 영어는 6 월지방직영어를 완전 망치고 난 후 이동기하프를 매일같이 하였습니다 . 한 30 점 20 점만 올리자는 생각으로 공부를 쉬는날이 있어도 하프는 꼭 했습니다 . 처음에는 4 개 6 개 받다가 거의 시험볼때 8 개 9 개이렇게 받았던 것 같네요 . 하프할 때 주는 단어장 매일보고 일주일 뒤 일요일에 다시 복습하고 한달 뒤 한달치 다시 복습해서 매일봤습니다 . 또 , 보카바이블 3.0 의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. 어휘문제 다 맞았습니다 ! 저번에 너무 부족함을 느끼고 9 월에 책을 사서 욕심부리지 않고 매일 하루에 하나씩해서 40 일에 한번 끝내고 하루에 2 개씩 20 일 보고 두번 보고 3 개씩 10 일에 보고 세 번 보고 동의어 , 심화학습 보면서 다시한번 보고 여러번 , 자세히 봤습니다 . 거짓말 조금 보태서 시험 볼 땐 보카바이블 3.0 에 있는 단어랑 , 하프단어는 다 외우고 간거같습니다 . 그래서 하반기 시험 어휘은 다 맞아서 점수가 확 올라갈 수 있었던 거 같습니다 . 덕분에 합격한 것 같고요 . 그러고나서 손진숙 , 조태정 특강으로 문법 , 독해 도움을 받고 많이 보다 진짜 꾸준히해서 점수를 올리자는 생각으로 했습니다 . 70 선택과목은 전공과목으로 좀 쉽게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. 16 년에 듣긴했지만 아예 기억이 나질않아 독학을 하려다가 인강들어서 정리하잔 생각으로 스터디채널의 식품위생 , 화학강의 들었습니다 . 90 85 한국사 , 선택과목은 제가 따로 공책에 정리해 외우면서 공부하면서 만든 공책으로 공부하였습니다 . 그리고 그거 위주로 많이 봤구요 , 아무래도 내가 정리한 노트다 보니 어느위치에 뭐가 있는지 쉽게 알수있고 , 나중엔 그냥 암기로만 공책만들어 그걸로 마무리하고 그걸로 공부했습니다 . 제가 꼭 지키려한 것은 영어매일하기 , 7 시반에 일어나서 아침먹기전에 영어 단어외우기 , 자기전에 아침에 외운 영어단어 한번 더 보고 자기 ( 시험보고나서 티비에서본 거지만 자기 5 분전에 외운 단어가 기억에 좋다고 하네요 . 그래서 더 좋았던게 아닌가하고ㅎㅎ ) 하반기에는 영어만 중점적으로 한 것 같아요 . 6 월시험이랑 하반기시험이랑 다른과목은 점수가 같은데 영어만 다르고 합격불합격이 달랐네요 . 핸드폰은 웬만하면 거실에 두고 방에서 공부하고 공부끝나거나 쉴때만 만졌구요 제가 티비를 워낙 좋아해서 티비는 11 시 공부끝나고는 보면서 스트레스는 해소했던거같아요 . 공부가 안된다 싶으면 과감하게 쉬기도 했지만 절대 혼자서 쉰거같아요 . 공부하기 싫으면 맘편히 인강들으면서 쉴겸 복습할겸 들었던거 같아요 . 원래 떠는 체질도 아니지만 , 18 년지방직 시험치려고 맘편히 친 하반기 시험이 합격한 걸 보니 편하게 시험보는게 더 도움이 되었던거 같기도하고 .. ㅎㅎ 당연히 매일 공부가 잘된건아니고 공부할땐 무조건 집중했고 짧게하더라도 집중해서 공부하는 습관을 들였습니다 . 공부가 안되면 많이 보려 하지않고 하나를 보더라도 제대로 머릿속에 넣자는 생각으로 꼼꼼하게 했습니다 . 집 ! 중 ! ' 고통 ' 을 한글자로 줄이면 ' 꿈 ' 이다 라는 말이 있듯이 지금은 힘들지 몰라도 열심히 노력하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! 파이팅 !